전체 글 23

사회학적으로 상상하는 현대인의 정신건강

시작하며: 현대인들은 웰빙(Well-being)한가? 우리 헌법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고 있는 만큼 현대인들은 삶의 질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과연 현대인들은 행복하고 건강한 생활을 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실제로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3분의 1이 스트레스나 우울로 고생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고도성장과 민주화에 성공한 우리사회에서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우리사회의 긍정적인 이면 외에 우리 사회의 부정적인 이면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조병희 외(2018:19)에 따르면 현재 한국사회는 자살률 등 부정적인 지표에서 앞서고 있으며 임금 격차, 노동시간, 실업률, 가계 부채 등의 사회 해체 증상이 심각하다. 이 점에서 현대인들이..

카테고리 없음 2024.03.23

사회학, 혼돈을 부르는 과학①_ 사회학은… (초안)

사회학의 문제들(문예신서 234) - 저자 피에르 부르디외 출판 동문선 출판일 2004.04.20 1 나름 사회학을 전공한지 시간이 흘렀지만, 결국 “사회학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는 여전히 답을 하기 어렵다. 이는 어쩌면 사회학을 단순히 학문이라는 지식체계로 취급했던 지난 편견의 결과일 수도 있겠다. 교수 등의 전문가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지금 와서 돌이켜 보면 사회학은 지식체계라는 정체성 보다 하나의 사고체계 혹은 사고방식이라는 정체성에 더 어울리는 듯하다. 그래서 사회학과에서는 ‘사회학적 상상력’이라는 사회학만의 독특한 사고개념을 배우게 된다. 즉, 사회학을 한다는 것은 사회학적으로 보고 생각한다는 뜻이며, 이는 더 나아가 우리의 상상력을 어떤 방향으로 계발하는지와 연관되어 있다. 여기서 “어떤..

카테고리 없음 2024.02.13

성산동 국밥 "88 따구탕"

겨울과 가을이 오면 동네 국밥집을 탐방하는 게 하나의 일이 되었다. 순대일번지, 시장 왕족발 순대국밥, 일등식당 등 다양한 국밥집을 다녔는데, 이번 기회로 소고기로 만든 부드럽고 맛 괜찮은 새로운 국밥집이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나이가 든 사장님, 푸짐하면서도 싼 가격의 한 그릇. 소주 한 잔에 날려버리는 하루의 노고 등등,, 확실히 누군가를 대접하기에는 국밥은 다소 소탈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음식이다. 하지만, 88 따구탕 특유의 거부감 없는 트렌드한 인테리어와 소뼈탕이라는 생소한 메뉴는 그러한 편견을 깨주기에 충분했다. 기본정보(위치, 메뉴, 특이사항) 1) 위치 (A 표시 지점) 사실 딱히 거리뷰를 공유하지 않은 이유는 교통편 때문이다. 워낙 교통편이 좋아서 대충 어떤 역에서 내리는지만 알면 거..

카테고리 없음 2024.01.17